울산 부산 스쿠버다이빙 다이브마스터 이야기 01 [DIVE STORY 교육]
다이브마스터라는 등급은 프로페셔널 등급의 첫번째 단계이고, 그만큼 중요한 과정입니다. 스쿠버다이빙에서 가장 중요한 교육이 오픈워터 과정이듯이. 스쿠버다이빙 프로페셔널 등급에서도 가장 중요한 과정이 다이브마스터 입니다. 한국은 다이브마스터는 별로 없고, 강사가 더 많기는 하지만 다이브마스터는 명확히 강사와는 다른 분야에서 반드시 필요한 존재 입니다. 다만 모든 강사님들은 다이브마스터 과정을 경험하고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에 강사를 취득하고, 다이브마스터의 역할을 할 때가 많아요.
여담이지만, 제가 종종 가는 대만에 있는 다이브샵에서는 강사를 Instructor가 아니라 teacher라고 하고 master를 coach라고 부르더라구요. 대만에서는 전부 그렇게 부르는지 모르겠지만 갈 때마다 teacher라고 해서 좀 어색하기는 하더군요. 중국인들이 좋아하는 사부를 영어로 바꾸면 teacher가 되니 그럴 수도 있겠다는 생각은 했어요. 중국어로는 강사를 教練으로 적는데 그대로 읽으면 교련이고, 번역기 돌리면 코치로 나오거든요.
다이브마스터는 ISO 국제 규정(EN/ISO 24801-3:2014)에는 Dive Leader(다이브리더) 등급으로 되어 있어요. 다이브마스터라는 어원이 어디서 시작되었는지 알수 없지만, 대충 추측해 보기에는 아마도 패디에서 먼저 사용하지 않았을까 생각이 듭니다. :) 이건 모르겠네요. 아래의 많은 단체들이 대부분 다이브마스터라는 명칭을 사용하지만, BSAC만 다이브리더라고 사용하고 있죠? BSAC라는 단체가 세계최초의 다이빙단체이고, 그래서 ISO 규정에 많이 채택되었나 봅니다. CMAS는 군대 아니랄까봐 참... 별을 좋아하네요. 지금은 CMAS도 다이브마스터라는 등급으로 사용될겁니다. 그 위에 베테랑 다이버가 있고 그 위에 또 조교가 있고... 암튼 CMAS는 너무 군대 같아요. : )
ISO 국제규정에서는 다이브마스터의 요건과 역할이 규정되어 있어요.
그냥 대부분 알고 있는 내용이라 특별한 건 없는데, 아래에 보시면 마지막에 차가운물에서 다이빙을 해봤어야 한답니다. : ) 왠지 영국이라는 추운 곳에서 다이빙 한 사람(BSAC 소속?)이 만든 규정느낌이 나기는 하죠?
그리고 조류다이빙을 해 봤어야 한다고 하는데 그 조류가 어느정도인지도 적혀 있어요. 초속 0.25미터니까. 시속 0.9km이고 걷는 속도보다 4배 정도 느린 속도가 되겠네요. 느린 것 같지만 제 다른 글에서 적어뒀듯이 물에서는 저항이 매우 심하기 때문에 이 정도만 되어도 힘들다고 느낄 수 있을 거에요. 성능 좋은 수중스쿠터 DPV가 대략 시속 6km 정도거든요. 사람이 걷는 속도인 시속 4km만 되어도 핀킥만으로는 물 속에서 앞으로 나갈 수 없을거에요.
60번 이상 다이빙 경험인데, 50번만 했으면 25시간이상의 다이빙 시간이 있어야 한다네요. 다이빙 1번당 30분씩 했다면 50번만 해도 되나봐요. 그리고 레벨2(어드밴스드) 다이버가 되고나서 40번의 로그가 있어야 한다고 하구요.
국제규정이니 대부분의 단체는 아래의 규정은 모두 포함하지만 미세하게 조금씩 다를 거에요. 해석의 차이니까요.
Prerequisites for training, including age and health requirements:
Minimum age 18 years, (만 18세 이상)
Minimum certification is to comply with all requirements for ISO 24801-2 level 2 Autonomous diver with logged experience in at least 60 logged dives, or 50 dives with at least 25 hours dive time, of which 40 must have been done after qualifying at level 2. Dives should include:
Night diving;
Diving in low visibility;
Deep diving;
Underwater navigation;
Diving in a current of at least 0.25 m/s;
Diving in cold water (<10°C).
Autonomous diver : 자유로운 다이버라니 ㅎㅎㅎ 국제규정에서는 오픈워터를 지칭합니다.
나머지는 다음에 적을게요~
– Make your story with DIVE STORY –
오픈워터에서 강사까지 교육가능한 스쿠버다이빙 센터 DIVE STORY
스쿠버다이빙 교육 문의
카카오톡 아이디 : DiveStory
휴대전화번호 : O1O-5436-8611
네이버쇼핑 : 아래 그림 클릭 해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