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VE 이야기

울산 부산 스쿠버다이빙 다이브마스터 이야기 02 [DIVE STORY 교육]

DiveStory 2020. 3. 16. 21:30

다이브마스터 두번째 이야기에서는 국제규정에 있는 다이브마스터 요건을 알아볼게요.

International standard ISO 24801-3 includes:

Prerequisites for training, including age and health requirements:

- Minimum age 18 years,

- Minimum certification is to comply with all requirements for ISO 24801-2 level 2 Autonomous diver with logged experience in at least 60 logged dives, or 50 dives with at least 25 hours dive time, of which 40 must have been done after qualifying at level 2. Dives should include:

- Night diving; (야간 다이빙, 가끔 나이트 다이빙 안 해본 다이브마스터들이 있어요. ㅡ_ㅡ;)

- Diving in low visibility; (불량시야 다이빙)

- Deep diving; (딥다이빙)

- Underwater navigation; (수중항법, 시야 좋은 곳에서는 나침반 필요 없다고 안 가르치는 곳이 있어요. 나침반이 수중항법은 아니지만 나침반 안할거니 수중항법 자체를 안 하면 안 됩니다. 그리고 대부분 단체의 수중항법 스페셜티에는 나침반이 필수로 있습니다.)

- Diving in a current of at least 0.25 m/s; (조류다이빙)

- Diving in cold water (<10°C). (10도 이하의 찬물다이빙)

60번의 다이빙을 하면서 반드시 해 봤어야 하는 것이라고 합니다. 스페셜티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는 요건은 아니구요. 국제규정에는 스페셜티는 없어요. 올바르게 했었다는 것을 증명하기가 어려우니 대부분의 단체가 스페셜티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대체 하는 것 같아요.

 

Required theoretical knowledge regarding scuba and basic diving equipment, the basic physics of diving, decompression management and dive planning, medical and psychological problems related to diving, the diving environment and the use of nitrox breathing gases, including sufficient theoretical knowledge of the following topics to plan dives in typical local environments, plan for and manage reasonably foreseeable emergencies for these environments:

- Diving equipment; (다이빙 장비)

- Diving physics; (다이빙 물리학)

- Diving medicine; (다이빙 의학)

- The use of dive tables and dive computers; (다이빙 컴퓨터와 테이블 이용법)

-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their influences; (환경 통제라고 번역하면 될 것 같은데, 직역하면 환경을 살피고 그 영향을 알고 있다 정도?)

- Dive planning and management; (다이빙 계획과 관리)

- Communication underwater and at the surface; (수중과 수면에서의 신호)

- Recommended safe diving practices for; (추천하는 안전 다이빙 연습)

- Boat diving; (보트다이빙)

- Night diving; (야간다이빙)

- Diving in low visibility conditions; (불량시야 다이빙)

- Deep diving; (딥다이빙)

- Diving in tides and currents; (조수와 조류에서 다이빙)

- Restrictions on diving in waters without direct ascent to the surface; (라인 없이 상승)

- Underwater navigation; (수중 항법)

- Accident management; (위험 관리)

Procedures in the event that contact with the dive buddy is lost; (버디를 잃어버렸을 때 절차)

Knowledge of regionally applicable legislation relevant to recreational diving.(지역 다이빙 법률)

요것들은 다이브마스터라면 반드시 갖추어야 할 지식과 능력인 것 같아요. 당연히 알아야 하는 것들이죠? 조류 다이빙은 많이 하는데, 조수 다이빙 요고 참 어렵습니다. 태종대에서 이거 제대로 못하면 크게 다칠 수도 있어요. 해변에서 파도에 한번 넘어지면 정말 일어나기 어렵거든요. 몽돌이라 돌에 부딛쳐서 다치는 분들이 정말 많아요. 심지어 장비 안 매고 스노클만 하는데 바도에 넘어져서 죽기 직전까지 가는 분들도 있습니다. 정말 조심하셔야 되요.

그리고 지역다이빙 법률은 반드시 지키세요. 해당지역 다이빙 법률은 다이빙 국제 규정이나 다이빙 단체의 규정보다 훨씬 강력한 규제입니다. 체포되어 상당한 벌금을 내거나 심지어 감옥에 갈 수도 있어요. 현지 다이브 마스터가 설명 할 때 하지 마라고 하는 것들은 대부분 지역 법률도 포함되어 있는 내용이 많습니다. 다이빙 잘 한다고 대충 듣지 말고, 꼭 듣고 명심하세요. 내가 알아보기로는 그게 아닌데 한다면 반박하지 마시고 다른 곳으로 가시는 것을 권장합니다. 만약에 문제가 발생되면 본인은 물론 같이 다이빙 나간 버디, 다이버, 해당 다이브샵까지 피해를 입습니다.

Required scuba skills in confined and open water. These include deep diving and navigation skills, and leadership skills.

Diving skills must be sufficient to deal with the most demanding circumstances likely for the regional environment, taking into account;

- Depths beyond those suitable for a Level 2 recreational scuba diver; (적합한 수심을 갈 수 있는 레벨2 레크레이션 다이버)

- Visibility; (시야)

- Size and experience of the guided group; (그룹을 가이드한 경험)

- Equipment in use;

- Currents; (조류에 따른 장비 사용)

- Surface conditions; (수면 상태에 따른 장비사용)

- Water temperature.(수온)

요건 마스터 과정에 필요한 준비물 장비는 없죠 ^^? 어드밴스드 이상의 다이버가 있어야 하고, 그룹을 인솔해 보기 위해 다이버 여러명이 있어야 하구요. 다이브마스터는 혼자 연습한다고 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어요.

A high degree of mastery is required in;

- Use of mask, fins and snorkel;

- Assembly and disassembly of diving equipment in preparation for the dive, and for user maintenance;

- Pre-dive inspection of the equipment and buddy checks on land and in the water;

- Water entries and exits;

- Establishing correct weighting and trim;

- Clearing the snorkel and the regulator;

- Change between regulator and snorkel on the surface;

- Controlled descent and ascent with pressure equalization of the ears and mask;

- Efficient underwater swimming, with appropriate buoyancy and depth control;

- Recover and replace mask;

- Buddy system procedures, including hand signals, and staying together.

- Buoyancy control underwater and at the surface;

- Managing routine contingencies like regulator recovery;

- Monitoring the dive profile on the instruments;

- Use of the quick release for the weighting system at the surface;

- Removal and refitting of the weighting system in the water;

- Fitting the diving equipment at the surface;

- Emergency ascent procedures as a recipient and as a donor, including emergency ascents and use of an alternative breathing gas supply;

- Use of surface marker buoys

요건 오픈워터 기본 스킬에 대해서 마스터 해야 한다고 적어뒀고, 오픈워터 스킬에는 요런게 있다고 하네욤.

The diver must be competent to plan and lead dives beyond the usual recreational depth range, taking into account;

- Nitrogen narcosis; (질소마취)

- Breathing gas consumption and respiration rates; (공기 소모와 호흡 속도)

- Decompression limits; (감압 한계)

- Safe ascent procedures including decompression stops; (데코 스탑을 포함한 안전상승)

- Changes in buoyancy; (부력 변화)

- Use of special equipment such as an emergency breathing gas supply; (응급 공기를 제공하기 위한 특별한 장치, 데코탱크 같은거)

- Emergency equipment and procedures.(비상 장비 및 사용 절차)

요기서는 재밌는 말이 있어요. 다이브마스터는 레크레이션 다이빙 한계를 넘어서는 다이빙에 대하여 대비를 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 같습니다. 그 예시로 적어뒀는데, 레크레이션 다이빙에서는 하지 않는 것들이죠? 부력변화이라는 것도 아마 BCD 공기 조절이 아닌 웨이트를 풀어버리던지, 무거운 것(예를 들어 의식없는 다이버)를 끌고 나올 때 생기는 부력 변화인 것 같습니다.

레크레이션 다이버라고 절대로 한계수심으로 이하로 안 내려간다는 보장이 없고, 무감압 한계시간을 초과하지 않는다는 보장이 없어요. 그럴 경우 당황하지 않고 무리를 통솔하기 위해서는 자신이 우선 이런 지식을 반드시 갖추고 연습을 해 둬야 하겠죠? 본인도 경험해 보지 못한 질소마취나 감압한계 이상의 다이빙이 발생하면 어떻게 다른 사람을 도울 수 있겠어요. 본인도 모르는데.....

그래서 다이브마스터 이상이라면 테크니컬 교육은 필수라고 생각 됩니다. 플라스틱 카드만 있는 다이브마스터가 아니라 진정한 다이브마스터라면 테크니컬 다이빙에 있는 내용은 숙지하고 위험 상황에 충분히 대비 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해요. 국제 규정에도 이렇게 강조하고 있잖아요. :)

The diver must demonstrate mastery of underwater navigation.

- Skills in planning, organizing and conducting their dives, and leading other recreational scuba divers using both instruments and natural navigation methods.

수중항법 반드시 마스터 해야 하고, 장비도 잘 사용하고, 그냥 뭐든 잘해서 다른 다이버를 이끌 수 있어야 한답니다.

Diver rescue skills:

- Recognition of an emergency

- Underwater search

- Controlled recovery from underwater

- Effective management at the surface

- Recovery from the water

- Management of the emergency and coordination of rescue services

- First Aid certification

- Oxygen administration for diving accidents

요건 그냥 레스큐 스킬 할 수 있어야 한다고 적어둔 거구요. 산소 공급 할 수 있어야 한다고 적혀 있네욤. SDI에서는 FRTI 과정에서 산소공급자 자격이 있죠? 다이빙 하러 갔을 때, 산소의 위치와 사용법은 반드시 확인 해두시는 버릇을 가지세요. 대부분의 리조트에 산소가 있기는 있지만 관리가 안되는 경우도 많이 있고, 구석에 숨겨져 있을 수도 있어요. 다이빙가기 전에 그냥 그거 잘 보이는데 꺼내두고 가시면 좋아요. 리조트에도 산소가 없다면, 인근 횟집으로 가시면 구할 수 있을 거에요. 횟집에 산소탱크 가지러 가는 상황이 발생하면 안되겠지만요......

Practical training parameters,

Evaluation of knowledge and practical skills, and a minimum standard for experience as a number of open water dives.

연습 많이 해라네요.

SDI 다이브마스터 교육은 다이브스토리에서 시작해보세요. 테크니컬 과정까지 가르칠 수 있는 곳이니 다이브마스터 교재에 있는 것 보다 훨씬 많은 경험과 이론을 알려드리고 연습 해 볼 수 있을 거에요. 그리고 재밌을거에요. :)

– Make your story with DIVE STORY –

오픈워터에서 강사까지 교육가능한 스쿠버다이빙 센터 DIVE STORY

스쿠버다이빙 교육 문의

카카오톡 아이디 : DiveStory

휴대전화번호 : O1O-5436-8611

네이버쇼핑 : 아래 배너 그림 클릭 :)